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8

개발자의 인생을 잘 표현 했네요~ http://flytgr.tistory.com/trackback/1000 개발자의 인생을 잘 표현 한듯 합니다. 지금은 내가 개발자인지 관리자인지 경계조차 모호졌지만 은둔 고수를 꿈꾸는 저에게 다시한번 Develop 이란 무엇일까를 생각하게 하는 글입니다. 특히 독방의 개발자는 되지 마라 어두운 사무실에 홀로 앉아서 콜라 살때만 나타나는 은둔형 개발자가 가슴에 와 닿네요... 혼자 머리 쥐어 뜯으며 힘들게 개발하는것이 진정한 개발자라 생각했었고, 희열을 느꼈었는데~ ㅎㅎ 2009. 10. 1.
키보드 눌렸을때 이벤트 키값 코드 키보드 자판 비고 8 ← 빽 스페이스 9 Tab 13 Enter 자판과 숫자패드 둘다 16 Shift 양쪽 둘다 17 Ctrl 왼쪽 18 Alt 오른쪽만 왼쪽은 안됨 19 Pause Break 20 Caps Lock 25 한자 25 Ctrl 오른쪽 27 Esc 32 space 33 PageUp 34 PageDown 35 End 36 Home 37 ← 방향키 38 ↑ 방향키 39 → 방향키 40 ↓ 방향키 45 Insert 46 Delete 48 0 49 1 50 2 51 3 52 4 53 5 54 6 55 7 56 8 57 9 65 A 66 B 67 C 68 D 69 E 70 F 71 G 72 H 73 I 74 J 75 K 76 L 77 M 78 N 79 O 80 P 81 Q 82 R 83 S 84.. 2009. 9. 24.
자바스크립트 달력2(셀렉터) 예전에 올렸던 자바스크립트로 만든 달력을 좀 에디터 했습니다. 그림에서 보시는 바와같이 노란색 부분을 추가 하였습니다. 그림만 보셔도 아시겠지만 화살표(▶)를 누르면 달력의 월이 변경되고 날짜를 클릭하면 text 상자에 해당하는 날짜가 출력되는 구조입니다. 가독성이 조금 좋게 2009. 9. 24.
미래 인터넷의 모습 웹의 발전이 초기가 쇼핑몰, 홈페이지, 까페, 커뮤니티 등이였다면 웹의 중기는 개인 블로그, 미니홈피, SNS(트위터), RSS, 트랙백, 네이버 검색의 자동완성 기능등이라 생각합니다. 앞으로 제가 생각하는 미래의 인터넷 변화된 모습들입니다. http://www.sumopaint.com/flash/sumopaint/ http://pixlr.com/editor/ 위에 사이트는 포토샵 없이 간단히 인터넷 접속으로 사용 가능한 드로잉 툴입니다. 별도의 ActiveX 설치도 없고, 회원 가입도 없이 웹 사이트 접속만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http://docs.google.com 구글 사이트 가입이 필요하시만 이곳에서는 오피스 프로그램 설치없이 인터넷에서 엑셀, 워드, 파워포인트를 만들고 저장 할수 있습니다. .. 2009. 9. 18.
SQL2000에서 SQL2005로 ldf, mdf 파일 이용 복원 2009. 9. 7.
eval 함수를 이용한 가변 변수 eval 함수를 이용한 가변 변수 -----------------------결 과 ----------------------------------- www.daum.net www.naver.com www.yahoo.com ------------------------------------------------------------------ ----------------------------결과 ------------------------------------------------------------- val() 함수 호출시 document.siteform.aux0.value | document.siteform.aux1.value | document.siteform.aux2.value reper() 함수 .. 2009. 9. 7.
북마크와 RSS백업(20091118)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09. 9. 7.
윈도우에서 로우레벨포맷(lowlevel format) 하기 일딴 포맷이 뭔지는 다들 아시겠지만 포맷을 하면 다 지워진다...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한 말이다. 포맷이란 디스크에 데이터(자료)를 쓰기위에 섹터를 나누는 것(?)이다. 뭔소리일까? 우리가 밭에 씨를 뿌리기 위해서 이랑과 골을 파고 거기에 씨를 뿌린다.(이랑과 골 신세대들이 아나..음...) 암튼 밭에 씨를 막 뿌리는 것이 아니라 가로로 줄무늬로 땅을 파서 높은 곳과 낮은 곳을 만들고 높은 곳에 씨를 뿌린다. 하드 디스크에도 자료를 쓰기 위해 줄무늬( 데이터 포맷 방식이라 하면 될까? FAT, FAT32, NTFS ...)로 나눈다. 그렇게 하고 자료를 써 넣었는데, 삭제를 하게 되면 실제 자료가 없어 지는 것이 아니라 그 자료가 어디에 있다는 위치를 알려주는 주소가 없어진다. 뭔소리여... ㅡㅜ 한마.. 2009. 9. 7.
반응형